도시가 바뀌었다.이제 출퇴근길, 대로변, 주택가 골목에서도 자전거를 타고 달리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자동차가 아닌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모습은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서울의 ‘따릉이’, 대전의 ‘타슈’, 세종의 ‘어울링’, 울산의 ‘피프틴’, 창원의 ‘누비자’, 속초의 ‘타조’ 등전국 대부분의 주요 도시에 공공 자전거 시스템이 자리 잡고 있다.하지만 ‘공공 자전거’라고 해서 다 똑같을까?사용자 입장에서는 단순히 자전거만 빌릴 수 있으면 되는 게 아니다.앱 사용 편의성, 고장 빈도, 반납의 편리함, 정기권 가격, 그리고 고객 응대 품질까지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만족도’라는 실질적인 체감 평가가 결정된다.이 글은 2025년 전국 주요 도시의 공공 자전거 시스템을사용자 만족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한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