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2

공공 자전거를 처음 타본다면? 지역별 공공 자전거 이용 팁

‘공공 자전거’라는 단어, 요즘 들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이다.서울의 따릉이, 대전의 타슈, 세종의 어울링, 울산의 피프틴, 창원의 누비자, 속초의 타조까지,각 지자체마다 고유한 이름과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하지만 막상 처음 타보려 하면 생각보다 막히는 부분이 많다.앱 설치부터 회원가입, 자전거 해제, 반납, 요금 선택, 고장 신고까지처음 시도하는 사람에겐 하나부터 열까지 생소하고,“그냥 버스나 타자”는 마음이 들 정도로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다.공공 자전거는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다.교통비를 절약하고, 운동도 되고, 환경까지 생각할 수 있는 똑똑한 도시 이동 방식이다.하지만 이 모든 장점은 ‘잘 탈 줄 알 때’에만 해당된다.이 글은 공공 자전거를 처음 타는 사람을 위한 A to Z 가이드다.서울,..

지역별 공공 자전거별 자전거 배치 밀도 분석

“왜 우리 동네엔 따릉이가 없을까?”“출근하려고 보면 이미 자전거는 다 나갔던데…”공공 자전거를 이용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문제다.공공 자전거는 기본적으로 도시 내 다양한 지역에 자전거를 고르게 배치해야시민들이 쉽게 접근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도심 상권과 주요 거주지를 중심으로 자전거가 밀집 배치되고,외곽 지역이나 교통 소외 지역은 공공 자전거 ‘공백지대’로 남는 경우가 많다.그렇다면 실제로 지역별 공공 자전거 시스템은 자전거를 어떻게 배치하고 있을까?서울의 따릉이, 대전의 타슈, 세종의 어울링, 울산의 피프틴, 속초의 타조 등각 도시마다 공공 자전거 밀도(인구 대비 자전거 수, 면적 대비 거치소 수)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이 글에서는 2025년 7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