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현재, 공공 자전거는 대한민국 대도시 교통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서울의 ‘따릉이’, 대전의 ‘타슈’, 세종의 ‘어울링’, 울산의 ‘피프틴’, 창원의 ‘누비자’, 강원의 ‘타조’까지이들 브랜드는 시민의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며 ‘교통비 절감’, ‘친환경 이동 수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하지만 실제 이용자들의 목소리는 생각보다 복잡하다.“고장 자전거가 너무 많아요.”“앱으로 반납했는데 위치가 안 잡혀요.”“정류소엔 자전거가 없고, 있더라도 고장 나 있어요.”현실은 생각보다 불편하고,공공 자전거의 사용률과 만족도 사이에는 큰 간극이 존재한다.이 글에서는 실제 이용 경험과 이용자 인터뷰, 지역별 시스템 운영 데이터를 바탕으로서울, 대전, 세종, 울산, 창원, 강원(속초·춘천) 등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