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공공 자전거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도시의 모빌리티 수준을 상징하는 인프라로 자리잡았다.하지만 "공공 자전거"라는 말 속에는 너무도 다양한 자전거가 포함되어 있다.서울의 따릉이는 기본형 기어 자전거와 전기 자전거를 운영하고 있고,울산의 피프틴은 전기 자전거 전용이며, 창원의 누비자는 초창기형 3단 자전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이 외에도 세종 어울링, 대전 타슈, 속초·춘천의 타조 등,도시마다 사용하는 자전거 종류가 완전히 다르며,그에 따른 승차감, 속도, 무게, 기능, 유지관리 방식까지 제각각이다.많은 이용자가 "어차피 공공 자전거는 다 똑같지 않나?"라고 생각하지만,실제 타보면 도시마다 천차만별의 경험이 기다리고 있다.어디는 페달이 무겁고 기어가 잘 안 들어가며,어디는 브레이크가 지나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