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 공공 자전거를 타보려는 사람이라면, 단순히 앱을 켜고 자전거를 빌리는 과정만 떠올릴 수 있다.하지만 실제로는 지역마다 시스템이 다르고, 이용 요금, 반납 방법, 심지어 자전거 종류까지 달라서사전 정보를 모르면 당황하거나 불필요한 요금을 내는 경우가 많다.서울의 따릉이, 대전의 타슈, 세종의 어울링, 울산의 피프틴, 창원의 누비자 등각 지역의 공공 자전거는 비슷해 보이지만 운영 방식이 제각각이다.대여소 위치, 결제 방식, 반납 규칙, 고장 신고 절차 등 세부 차이가 존재하고,이 차이를 이해하면 더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나 역시 처음 공공 자전거를 이용했을 때,서울에서 따릉이 앱을 익숙하게 쓰다가 대전에 가서 타슈를 타려니회원가입부터 요금 결제, 반납까지 전혀 다른 흐름에 당황했던 경험이..